잡] 건강관련7 [건강검진] 혈청, 소변 크레아틴 뜻과 정상치 ▣크레아틴이란? 신장의 기능을 확인하는 대표적인 검사입니다. 크레아티닌은 근육에서 생성되는 노폐물로 대부분 신장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신장기능의 좋은 지표가 됩니다. 보통 신장기능 평가를 위해 크레아티닌 검사와 혈액요소질소 검사를 함께 수행합니다. 크레아티닌 농도는 신장의 세균감염, 약제나 독소에 의한 세뇨관 괴사, 전립선 질환, 신장결석, 요관폐색, 쇼크, 심부전, 당뇨병 등으로 인해 증가될 수 있습니다. 혈액 내 크레아티닌 검사와 24시간 소변 내 크레아티닌 검사의 결과로 신장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걸러내는지 측정할 수 있는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CT 촬영이 예정되어 있거나 약물에 의한 치료의 전과 후, 그리고 투석 전과 후를 비교하여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데에 검사를 이용합니다... 2021. 4. 28. 뇌동맥류란? 원인 및 의심증상! 치료 방법 ▣뇌동맥류란 미파열 뇌동맥류는 뇌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병변이다. 성인 인구의 2% 내외에서 발생하며 가족력, 고령, 여성, 흡연 여부, 다낭성 신장질환과 같은 유전질환에서 발생빈도가 높다. 미파열 뇌동맥류의 파열 위험률은 1년에 10% 정도지만, 뇌동맥류 파열은 자발성 뇌지주막하출혈의 75~80%에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동맥류의 크기와 위치(후순환계 및 후교통동맥)는 파열에 기여하는 주요인자로 크기 5~7mm를 기준으로 파열 위험률의 증가가 뚜렷해지고, 10mm 이상인 경우에는 매우 높아진다. 뇌동맥류, 최근 5년 사이 두 배 가까이 증가 뇌동맥류는 전체 인구의 1% 정도에서 발견되는 질환이다.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뇌동맥류로 병원을 찾은 환자.. 2021. 4. 27. [건강검진] 대상과 종류, 기간 국가건강검진은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5세까지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영유아 건강검진, 6세~18세 학동기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학생검진,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일반검진과 암검진입니다.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한 일반검진과 암검진은 노년기로 별도 구분하고 있습니다. 대상은 지역세대주, 직장가입자, 만 20세 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만 19세~64세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해당됩니다. 매 2년에 1회 실시되며 비사무직은 매년 실시하게 됩니다. 짝수년도에는 짝수년도 출생자, 홀수년도에는 홀수년도 출생자가 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올해 2021년은 끝자리가 홀수이기 때문에 홀수 년도 출생자들에게 무료 건강검진 혜택을 제공하게 됩니다. ▣ 검진대상 1. 이상.. 2021. 4. 25. [건강검진] 감마지피티(GGT) - 간수치검사 ▣ 남성의 경우 유방커짐과 성욕감퇴증상, 여성의 경우 생리불순증상이 없다가 생김. ▣ 잠을 자도 금방 피로해짐 ▣ 체중이 급격하게 감소 ▣ 눈의 흰자부분이나 얼굴색이 노랗게 뜸 ▣ 또는 얼굴색이 검고 착칙히고 탁해짐 ▣ 지방간 또는 간 경화 ▣ 얼굴 또는 가슴 부위에 뾰루지는 아니나, 붉은 반점 같은 이상한 것들이 생김. 감마 지티피(γ-GTP)란? γ-GTP (γ-glutamyl transpeptidase)는 세포밖의 아미노산에 g1utaminy1기를 결합시키는 효소로 아미노산을 세포내로 운송하는 작용을 하는데, 알코올이나 약물로 인하여 간장애가 생기면 γ-GTP가 대량 만들어져 혈중에 증가하게 되며 신장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다음으로 췌장, 간, 비장, 소장에도 존재한다. γ-GTP는 특히 알.. 2021. 4. 2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