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 건강관련7 PET-CT , CT 검사 종류 및 차이점 CT Dual source CT(Siemens) 개요 및 원리 컴퓨터 단층촬영(CT)는 X-선과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체의 목적부위를 여러 방향에서 조사하여 투과한 X-선을 검출기로 수집하고 그 부위에 대한 X-선의 흡수차이를 컴퓨터가 수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재구성하는 촬영기법을 말합니다. CT는 인체의 단면에 대한 재현 능력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인체의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의 변형 정도를 비교적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정보를 주며, 혈액, 조직 뇌척수액, 백질, 회백질, 종양 등을 구분하는데 우수한 분해능력과 대조도를 표현하여 미세한 부분의 흡수차로 영상진단분야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CT 촬영은 인체의 어느 곳도 검사가 가능합니다. 종합병원은 물리적 특성을 감안하여 .. 2021. 4. 20. 여름철 무서운 장염, 비브리오균 뜻과 원인 및 예방법 장염 비브리오 균이란? V. parahaemolyticus는 1950년 10월 일본 오사카 남부에서 멸치포(Engraulis japonica)를 먹고 식중독 증상을 보인 272명의 환자 중 20명이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이 균은 해수 및 각종 해산물에 서식하는 저도 호염성균으로 수산물을 즐겨 먹는 한국,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각국에서 여름철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 원인균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특징 그람음성, 통성혐기성 간균으로 액체에서는 극단모성편모만을 갖지만 고체에서는 극단모성편모와 주모성편모를 함께 형성한다. 이 균은 식염농도 0.5~10%에서 증식하지만 3% 전후가 최적 식염농도이다. 생육 최적온도는 30~37℃이며, 최적 pH는 7.5~8.5이다. 특히 .. 2021. 4. 20. 호산구란? 역할과 병(호산구증가증) 호산구란? 호산구는 백혈구 세포 중 하나로 알레르기 반응과 기생충감염시 증가합니다. 이외에도 약물반응, 염증성 질환 등에서도 증가하므로 호산구증가증 자체만으로 임상질환을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말초혈액의 백혈구감별계산과 총백혈구수를 이용한 계산에 의한 호산구 측정시 500 /μL이면 호산구증가증이라고 판단합니다. 적은 호산구 수 혈액 내 적은 호산구 수(호산구 감소증)는 쿠싱 증후군, 혈류 감염(패혈증)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면역계의 다른 부분이 적절하게 보완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적은 호산구 수가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적은 호산구 수는 대개 다른 이유로 인해 전체 혈구수 검사를 실시할 때 우연히 발견됩니다. 원인을 치료하면 호산구 수가 정상으로 회복됩니다.. 2021. 4. 20. 이전 1 2 다음